민속이란 삶이다
지난전시기획전시
민속이란 삶이다
· 전시기간 2022-04-27 - 2022-07-05
· 전시장소본관 기획전시실Ⅰ

  • 전 시 명: 《민속이란 삶이다》
  • 전시 장소: 국립민속박물관 기획전시실 1
  • 전시 기간: 2022년 4월 27일(수) ~ 2022년 7월 5일(화)
  • 전시 내용: 민속의 의미와 가치 소개
  • 전시 자료: 『조선민속(朝鮮民俗)』 등 유물과 아카이브 자료 600여 점
  • 전시 구성
    1부 민속에 관심을 갖다
    2부 ‘민’이란 뜻이 바뀌다
    3부 민속의 영역이 확장되다

국립민속박물관은 민속(民俗)의 의미와 가치를 소개하는 《민속이란 삶이다》 특별전을 개최한다.
우리 민속은 20세기 초에 학문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초기의 민속학자들은 민간신앙, 무속, 연희, 놀이, 일생의례, 설화, 민요, 의식주, 생업 등 당시의 삶 전반을 기록으로 남기고자 했다. 이러한 노력은 지금도 이어지고 있으며, 민속이란 그릇에 삶의 모습을 오롯이 담고 있다.
이번 특별전을 통해서 어제와 오늘의 우리 삶을 만나보고, 내일의 우리를 생각해 보길 바란다. 더불어 민속의 참모습을 공감해 보고, 각자의 삶을 돌이켜 보는 시간이 되길 기대해 본다.



1부 민속에 관심을 갖다

전시장 모습: 민속에 관심을 갖다

민속(民俗)은 1920년대부터 이 땅에서 근대 학문으로 다뤄지기 시작했다. 일제의 강점하에 있었던 조선에서 어떤 이들은 조선인의 민족성 확립과 고취를 위해, 또 다른 이들은 일제의 식민 통치에 복무하기 위해 민속을 다뤘다.
이처럼 이들 모두가 민속에 관심을 둔 이유는 조선의 민속에 조선인의 사상과 생활상이 담겨 있다는 생각 때문이었다. 이러한 생각은 민속의 조사와 연구, 학회 창립 등 여러 활동으로 이어졌고 광복 직후 민속을 기반으로 박물관을 설립하는 일에 밑거름이 되었다. 당시의 활동은 오늘날에 전해져 우리의 지난 삶을 되돌아보는 중요한 자료로 남아있다.



2부 ‘민’이란 뜻이 바뀌다

전시장 모습: 민이란 뜻이 바뀌다

민속(民俗)에서 ‘민’은 민속을 향유하는 주체를 뜻한다. 애초에 ‘민’은 피지배 계층을 나타내는 계급적 성격을 띠었던 말로 서민, 상민, 평민 등 양반에 대립되는 사람들을 가리켰다. 이들은 주로 농촌, 어촌, 산촌 등에서 모여 살았고 민속을 향유했다.
시대가 변하면서 ‘민’의 의미는 민중, 대중, 국민 등으로 바뀌게 되었다. 산업화와 도시화의 물결로 사람들은 도시로 몰려들었고, 민속의 현장은 도시로까지 확대되었다. 최근에는 ‘사회 관계망 서비스(SNS)’ 등 온라인상의 가상공간에서도 민속을 향유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3부 민속의 영역이 확장되다

전시장 모습: 민속의 영역이 확장되다

시대가 변했지만 민간신앙, 무속, 연희, 일생의례 등은 여전히 민속(民俗) 연구의 주요 대상이다. 예전부터 민속으로 다루던 대상이 ‘K-culture’란 이름으로 국제적 유명세를 치르고 있기도 하다. 7080 혹은 8090 등으로 일컬어지는 우리의 지난 일상도 추억이란 이름으로 민속이란 그릇에 차곡차곡 담기고 있다.
현재의 민속은 예전과 달리 그 내용이 보다 다양화되고 영역이 확장되었다. 국내를 넘어서 해외동포의 생활상과 다른 나라와 우리나라의 민속을 비교하기도 한다. 다문화, 고령화, 환경오염, 전염병 등 현재적 문제도 삶과 일상의 관점에서 주목하고 있다. 또한 개인의 일상과 생애가 민속이 되고, 산업단지와 차이나타운 등 새로운 공동체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민속으로 다루기도 한다. 이처럼 요즘 민속은 현재 진행형인 우리의 삶으로 채워지고 있다.




전시 자료

조선민속 『조선민속(朝鮮民俗)』

1933, 1934, 1940

우리나라 최초의 민속학회인 조선민속학회(朝鮮民俗學會)의 학술 잡지이다. 조선민속학회는 1932년 송석하(宋錫夏, 1904~1948), 손진태(孫晋泰, 1900~미상), 정인섭(鄭寅燮, 1905~1983) 등이 발기해 조선의 민속자료 수집과 민속학의 연구를 위해 만든 학회이다.
민속 현지조사 사진카드 민속 현지조사 사진카드

일제강점기

송석하(宋錫夏, 1904~1948)가 만든 사진카드로 민속 현지조사 사진을 붙이고 명칭, 지역, 날짜 등을 기록했다. 사진카드는 민간신앙, 무속, 연희, 놀이 등의 내용이 주를 이룬다.
북청사자놀음 사진카드 북청사자놀음 사진카드

1936년 2월 7일 | 함남 북청
봉산탈춤 사진카드 봉산탈춤 사진카드

1930년대 | 황해 봉산
국립민족박물관 제주 민속 조사단 국립민족박물관 제주 민속 조사단

1946

국립민족박물관의 제주 민속 조사단 모습으로 당시 국립민족박물관에서는 1946년 2월 26일부터 3월 15일까지 개관 전시를 위해 제주도의 민속을 조사했다. 사진에서 송석하(宋錫夏, 1904~1948) 관장과 미군정 관리로서 국립민족박물관의 창립에 큰 도움을 준 유진 크네즈(Eugene I. Knez, 1916~2010) 대위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전국 부락제당 조사 설문지
한국의 마을제당 시리즈
『전국 부락제당 조사 설문지』

1967

『한국의 마을제당』은 『전국 부락제당 조사 설문지』를 정리한 책이다. 전국 부락제당 조사는 지역별 마을제당 현황을 조사하기 위해 민속학자가 기획하고 문교부 소속 문화재관리국에서 1967년에 진행한 조사였는데, 당시 문교부 소속의 각급 학교 교사들이 자신이 근무하고 있던 지역의 마을제당 현황을 설문지에 정리했다.
한국의 마을제당 시리즈 『한국의 마을제당』 시리즈

1995~2004

『한국의 마을제당』은 서울,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등 전국의 마을제당 현황을 정리한 책이다. 이 책은 『전국 부락제당 조사 설문지』의 내용을 정리해 만들었다.
필름 카메라와 워크맨 필름 카메라와 워크맨

20세기
PC통신 단말기, 286 컴퓨터, 전자사전 PC통신 단말기, 286 컴퓨터, 전자사전

20세기
갓(흑립, 주주립, 백립) 갓[흑립(黑笠), 주립(朱笠), 백립(白笠)]

조선시대
호미 호미(鋤)

20세기
달고나 도구와 연탄 풍로 달고나 도구와 연탄 풍로

20세기


온라인 전시(VR)

온라인 전시 VR 바로가기 클릭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마크

연관된 발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