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전시명: 길상 특별전 《그 겨울의 행복》
- 장소: 국립민속박물관 기획전시실1
- 기간: 2022년 11월 16일(수) ~ 2023년 3월 2일(목)
- 내용: 길상으로 본 우리 삶 속 행복의 변화와 지속
- 자료: 십장생도(十長生圖) 등 200여 점
*저시력자·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 리플렛·빅 레이블·촉각 전시물 및 청각장애인을 위한 전시영상 내 수어해설 도입- 구성
1부. 지금, 행복
1-1. 행복의 순간들
1-2. 복과 운
2부. 길상―좋은 일이 생길 것만 같은
2-1. 별전과 길상무늬
2-2. 오래오래 건강하게
2-3. 이름을 드높이고 부유하게
2-4. 화목하고 평안하게
2-5. 무사히 자녀를 얻길
*다양한 재료에 새겨진 길상무늬 (한 땀 한 땀, 오색찬란, 반질반질)
3부. 행복―언제 어디에나 있는
3-1. 행복의 발견
3-2. 행복의 모습
전시해설 운영 안내 (12.5.월~3.2.목)자세한 내용 보기
![]() |
별전 열쇠패
조선 후기 붉은 매듭술이 달린 판에 다양한 별전(別錢)을 색색의 비단으로 묶어서 장식한 열쇠패이다. 주로 혼수품(婚需品)으로서 안방 가구에 장식하여 복을 기원했다. 별전은 동전 형태의 장식품이나 기념주화로 사람들의 소망을 함축적으로 보여준다. |
![]() |
전 조지운필 유하묘도(傳 趙之耘 筆 柳下猫圖)
조선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장수(長壽)와 부부의 해로(偕老)를 기원하는 그림이다. 고양이의 한자인 ‘묘(猫)’와 70세 노인을 일컫는 ‘모(耄)’의 중국어 발음이 ‘마오’로 같아 장수를 의미하게 되었다. 까치는 기쁜 소식을 전해준다 하여 희작(喜鵲)이라고 불렸으며, 그림에 표현된 한 쌍의 까치는 부부가 해로하여 기쁨을 누린다는 뜻이다. |
![]() |
연적(硯滴)
조선 벼루에 먹을 갈 때 사용하는 물을 담아두는 도구로, 잉어 모양이다. 잉어가 중국 황허(黃河) 강의 급류인 용문(龍門)을 뛰어오르면 용이 된다는 설화에서 비롯하여 물고기는 관직을 얻는다는 의미를 가진다. |
![]() |
자위부과도(刺蝟負瓜圖)
1788년 긍재(兢齋) 김득신(金得臣) 고슴도치가 오이를 이고 달아나는 모습을 그린 그림이다. 오이는 씨가 많고, 고슴도치는 많은 가시를 가지고 있어 모두 다산(多産)을 의미한다. |
![]() |
자수 책가도 병풍(刺繡 冊架圖 八幅 屛風)
조선 책과 문방사우(文房四友)를 그린 책가도(문방도)이면서 갖가지 꽃과 나무, 새들과 식물 등 길상의 의미를 담은 소재들을 함께 그렸다. |
![]() |
영친왕비 진주화접문 자수 향주머니(英親王妃珍珠花蝶紋刺繡香囊)
20세기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국가민속문화재 향을 넣어 옷에 차는 주머니로, 매화와 나비 한 쌍을 금실로 수놓고 천연 진주를 달아 화려하게 장식하였다. |
![]() |
삼층 자개농(三層籠)
조선 표면을 다양한 무늬로 장식한 삼층 자개 장롱이다. 문안쪽 면에 산수화, 백동자도, 꽃과 나비·새 등 층층마다 다른 그림으로 장식했다. |
![]() |
활옷
조선 후기 숙명여자대학교박물관 소장 궁중 예복이었으나 조선 후기 이후 민간에서 혼례복으로 입었다. 부부의 앞날을 축하하는 의미를 담은 글귀와 십장생·모란·연꽃·봉황 등의 무늬를 수놓았다. |
![]() |
‘오늘도 무사히’ 액자
21세기 1970~80년대에 무사(無事)와 안녕을 바라는 의미로 자동차 안이나 집에 두었던 그림이다. 이 그림의 원화(原畫)는 영국 화가인 조슈아 레이놀즈(Joshua Reynolds)의 <어린 사무엘(The infant Samuel)>로, 성경의 내용을 묘사한 것이다. |
![]() |
진로 소주와 술잔, 두꺼비 캐릭터 상품
20세기, 21세기 진로 소주는 두꺼비 마스코트를 내세워 ‘두꺼비 소주’로 불리기도 했다. 복과 재물을 주는 의미의 두꺼비 캐릭터를 홍보 전략으로 내세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