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성한 결실의 수확 한로
24절기중 17번째인 한로는 추분과 상강사이에 들며 음력9월, 양력 10월 8~9일 무렵으로 태양이 황경 195도의 위치에 올때다.
이 무렵에는 이슬이 찬 공기와 만나 서리로 변하기 직전인 한로 즉 찬 이슬이 맺히기 시작하는 시기다.
<자막>한로(寒露)차가운 이슬, 늦가을에서 초겨울 무렵까지의 이슬
옛날사람들은 절기의 시작부터 15일간을 다샛씩 나눠 자연환경의 변화를 이야기했는데, 고려사 선명력에서는 초후에는 기러기가 와서 머물고 차후에는 참새가 큰물에 들어가 조개가 되며 말후에는 국화꽃이 누렇게 핀다고 기록하였다.
한로가 지나면 제비는 강남으로 가고 기러기는 북에서 온다.
제비가 오면 기러기가 가고 기러기가 오면 제비는 간다는 말이 있다.
이는 한로즈음이 여름새인 제비와 겨울새인 기러기가 교차되는 시기로 추위가 시작됨을 나타내는 속담이다.
해는 점차 짧아지고 하루가 다르게 기온이 떨어지는 한로 무렵 농부들은 늦가을 서리를 맞기전에 추수를 끝내느라 바빠진다.
고양이 손도 아쉽다거나 불 때던 부지깽이도 거든다 라는 말에서도 알 수 있듯 이 시기 농부들의 일은 새벽부터 밤늦도록 이어진다.
기계화된 오늘의 농촌과 달리 옛날에는 논물을 빼고 퇴비를 만들고 지방에 따라서는 목화도 따야되고 또 콩, 팥, 조, 수수, 무, 배추같은 밭작물의 파종과 수확이 한로 무렵에 이루어진다.
벼를 베거나 타작하는 날은 온 마을이 거대한 행사를 치루듯 부산했다.
한로는 중양절과 비슷한 시기에 드는 때가 많아 중양절 풍속인 머리에 수유를 꽃는 풍속이 있었다.
이는 자주빛인 수유열매의 붉은색이 부정이나 잡귀를 쫓는다고 믿었기때문이다.
또한 수유주머니를 차고 국화주를 마시며 높은 산에 올라가 고향을 바라본다거나 모자를 떨어뜨리는 등고의 풍습이 성행했다는데, 농촌이 아닌 서울사람이 이날 남산과 북악에 올라가 음식을 먹으면서 재미있게 놀았던 것도 역시 등고풍습을 따른 것이다.
<자막>등고(登高)음력 9월9일 중양절(重陽節)에 높은 곳에 올라 단풍이 든 풍경을 보고 즐기며 시와 술을 함께 나누는 풍속
한로무렵이 되면 국화전과 함께 시절음식으로 추어탕을 즐겼다.
계절이 바뀌는 절기를 그냥 지나치지 않고 음식을 베풀며 정을 나누는 지혜도 엿보인다.
입추에서 시작된 가을절기는 추수철인 한로를 지나며 절정을 맞고 상강을 끝으로 겨울로 접어들게 된다.
그래서 한로는 기후의 변화를 잇는 절기로서 매우 중요했다.
한해의 수확을 끝마치는 시점이면서 어느면에서는 다음해의 일년을 결정하는 첫출발이 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