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ch me if you can 국립민속박물관 기획전시실1 Special Exhibition Hall 1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요물 우리를 홀
현재전시기획전시
요물, 우리를 홀린 고양이
· 전시기간 2024-05-03 - 2024-08-18
· 전시장소국립민속박물관 기획전시실 1
  • 전시명: 《요물, 우리를 홀린 고양이》
  • 전시장소: 국립민속박물관 기획전시실 1
  • 전시기간: 2024. 5. 3. 〜 2024. 8. 18.
  • 전시내용: 우리 삶 속 고양이에 대한 재발견과 공존 모색
  • 관람료: 무료



전시개요

고양이는 일찍이 인간의 마음을
사로잡는 법을 알고 있었습니다.
큰 눈, 조그만 코, 통통한 볼과
3.6kg의 평균 체중을 가진 고양이는
사람 아기와 비슷한 외형과 체구로
우리의 보호본능을 일으키며
야생에서 도도하게 살다가도
필요할 때는 인간을 찾아와 애교를 부리며
노련하게 인간을 조종해 왔습니다.
이 뻔뻔하고 귀여운 생명체에게
옛사람들은 자신의 고기반찬을 내어주었고
요즘 사람들은 기꺼이 자신을 ‘집사’로 칭하며 지갑을 엽니다.
국립민속박물관에서는
예로부터 지금까지 고양이에게 홀려 온
우리 인간들을 깨우치기 위해 이 전시를 준비했습니다.
이제부터 우리는 고양이들의 무시무시한
세계 정복의 비밀을 파헤칠 것입니다.



전시소개

1부 귀엽고 요망한 고양이

고양이는 일찍이 사람에게 길들여진 ‘개’와도 다르고
소, 닭, 돼지처럼 생산성을 가진 가축도 아니지만
사람의 곁에서 오랜 시간 함께 살아왔습니다.
늘 눈에 띄지만 쉽게 곁을 주지 않는 고양이는
사람을 애태우게 하는 신비스러운 매력을 가졌습니다.
그러나 시대에 따라서는 쥐를 잡는 데 동원되기도 하고
도둑을 잡는 주술에 사용되기도 하며
사람에게 해코지하는 나쁜 존재로 여겨지기도 했습니다.
옛 그림과 문헌, 신문자료 속에 나타나는
귀엽고 요망한 고양이들의 모습과
그런 고양이에게 홀려 울고 웃었던 사람들의 기록을
들여다봅니다.


1-1. 매력적인 고양이

부드러운 털, 말랑한 발바닥과
날카로운 눈매, 뾰족한 발톱을 가진 고양이.
구석구석 살펴볼수록 신비롭고 재미난
고양이의 매력을 알아보세요.

1-2. 우리 곁의 고양이

예나 지금이나 고양이는 사람을 홀리는 재주가 탁월했습니다.
오죽하면 임금님 수라상 밑에 앉아서 고기반찬을 받아먹었을까요.
쥐를 잡는다는 유용함을 내세우며
우리 곁에 함께했던 여러 기록을 살펴봅니다.

1-3. 고양이의 이면

고양이는 표정 없는 날카로운 눈매를 가졌고
밤에 활동하며 발소리를 내지 않고 은밀하게 움직이는 특성 때문에
어둡고 부정적인 존재로 여겨지기도 했습니다.



2부 안방을 차지한 고양이

야옹! 나는 고양이다옹.
인간들은 모르고 있겠지만 우리는 지구를 정복할 계획을 세웠다냥.

우리가 마루 밑에서부터 안방 이불 속으로 파고들기까지
너희들은 아무것도 모르고 우리를 쓰다듬으며 귀여움에 취해
먹을 것과 잠자리를 내어주게 될 것이다냥.

대신 우리도 인간들이 목욕을 시키거나
억지로 안아 올려 뽀뽀를 하는 등 온갖 수모를 참아주고 있다옹.

아직까지는 알랑거리는 저 개들을 좋아하는 인간들이 더 많지만
언젠가 지구를 정복하고 인간의 애정을 우리가 독차지할 때까지
우리는 기회를 노릴 것이다냥.


2-1. 고양이의 지구정복

우리 고양이들은 인간의 삶 곳곳에 성공적으로 침투했다냥.
베트남에서는 우리가 토끼 대신 열두 띠 중 하나이고,
일본에서는 행운의 상징이며
노랫말은 물론 글과 그림에도 온통 고양이다옹!

2-2. 집사와 주인님

나에게 먹을 것과 잠자리를 내어주고
내가 사용한 화장실을 청소하며 놀잇감도 제공하다니
나는 아무래도 이 집의 주인인가 보다냥!

2-3. 무지개다리 건너 고양이별

우리의 시간은 너희 인간의 시간보다 빠르다옹.
난 먼저 무지개다리를 폴짝 뛰어 건너가 있을 테니
다시 나의 시중을 들고 싶거든
나중에 날 만나러 오라냥.



3부 우리 동네 고양이

고양이는 완전한 야생 동물도 아니지만
완전히 길들여지지도 않은 채로
인간의 주변에 살고 있는 ‘경계 동물’입니다.

고양이가 집 안이나 길 위, 어디에 살든지
우리와 함께 이 땅에서 살아가고 있는 것은 분명합니다.

길이 아닌 우리 동네에 사는 ‘동네 고양이’와,
동네 고양이를 위한 활동을 하는 ‘고양이 활동가’ 들이 있습니다.


3-1. 공존을 위한 모색

우리 동네의 구성원인 고양이에 대해
따스한 시선을 보내는 사람도 있지만 불쾌함을 느끼는 사람도 있습니다.
서로 다른 생각을 가진 사람들과 고양이가
모두 함께 잘 살기 위한 해답은 어디에 있을까요.


주요 전시자료

백자청화운룡무늬항아리 변상벽 필 묘작도
변상벽(卞相璧, 1730~1775)
조선
서울대학교박물관 소장

고양이를 잘 그린다고 해서 ‘변고양이’라는 별명이 있었던 조선 후기 화가 변상벽이 그린 그림이다.
조선시대 그림 속 고양이는 한자인 묘(猫)가 70세 노인을 뜻하는 모(耄)와 발음이 같아 ‘장수(長壽)’를 상징했다.
큰 사전 4 「고양이의 그림[畫貓] 104운(韻)」, 『사가집(四佳集)』
서거정(徐居正, 1420~1488)
1705년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조선 초기의 문신(文臣)이며 학자인 서거정(徐居正, 1420~1488)의 응제시(應製詩, 임금의 명에 따라 지어서 올린 시)이자 제화시(題畵詩, 그림을 소재·제재로 한 시)이다. 고양이에 대해 ‘사람들이 보호하고, 집에서 기르기에 이로우며, 사람 품에 안겨 논다’ 하며 사람과 고양이가 갖는 친밀함을 말하고 있다.
운룡도 항아리
1981년

프랑스의 저명한 인류학자 클로드 레비 스트로스 (Claude Levi Strauss, 1908~2009)의 고양이 그림이 그려진 항아리이다. 그는 1981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現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초청을 받아 한국을 방문하여 학술간담회와 현지답사에 참석했다. 이 고양이 그림은 통도사(通度寺) 답사 당시, 사기장(沙器匠) 신정희(申正熙, 1930~2007)의 공방에 방문했을 때 그린 그림이다.
문자도 검은 고양이 네로 LP
1970년

어린이 가수 박혜령이 노래한 <검은 고양이 “네로”>가 수록된 음반으로, 발매 2주 만에 1만 장이 넘게 팔리며 화제를 모은 곡이다. 홍현걸이 일본 곡을 편곡·번안한 것으로 원곡은 1969년 이탈이아 동요이다. 어쩌다 할퀴어서 마음 상하기도 하지만, 외롭고 고요한 어둠 속에서도 네로만 있어 준다면 마음 든든한 친구라고 노래한다.
대모함 영화 《살인마》
1965년
한국영상자료원 제공

한국 최초의 공포영화 《악의 꽃》(1961)을 만들고, 한국 공포영화의 장르를 연 감독인 이용민의 작품이다. 당시 이 영화는 7만 관객을 모으며 흥행에 성공했다. 영화의 줄거리는 억울하게 죽음을 맞이한 여성이 자신이 아끼던 고양이에게 복수를 부탁하고, 고양이 귀신이 복수를 행하는 내용이다.
약리도 웹툰 <소금툰>

소금이와 흑당이라는 두 마리의 고양이와 함께 사는 집사의 일상을 소재로 한 웹툰이다.
전시장에서 소금툰 일부 에피소드와 소금툰 작가의 ‘집사 생활’에 관한 일러스트를 만나볼 수 있다.
어룡문일월벼루 광고 <모두 늙어서 죽었으면 좋겠다>
2022년
김하연

사진작가 김하연이 길고양이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해 867명의 후원을 모아 제작한 ‘티끌모아 광고’ 프로젝트의 결과물이다. 다소 도발적인 광고의 문구는 ‘길에 사는 고양이들이 제 수명까지 무탈하게 살다가 떠날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을 담은 것이다.
십이지신도-진신 영화 《고양이들의 아파트》예고편
2022년
감독 정재은

“아파트가 재건축되면 거기 살던 고양이들은 어떻게 될까라는 궁금증으로 시작했다.”
《고양이들의 아파트》는 재건축을 위해 주민들이 모두 빠져나간 둔촌주공아파트에 남은 고양이들을 이주시키기 위한 ‘둔촌냥이 프로젝트’를 기록한 다큐멘터리 영화이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