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립민속박물관.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메뉴
열기
닫기
어린이박물관
영상채널
한국민속대백과사전
민속현장조사
국제저널무형유산
SNS
인스타그램
유튜브
페이스북
네이버 블로그
트위터
Language
English
中文
日本語
검색창 열기
검색창
관람안내·예약
본관
어린이박물관
파주관
박물관 소개
전시
상설 전시
기획 전시
어린이박물관 전시
온라인 전시
교류 전시
새로운 자료와 보존처리 전시
교육·행사
교육안내·신청
강의 다시 보기
교육자료
행사 및 공연
소장자료
소장품
아카이브·도서관
기증
열람·복제·매도
학술·정보
한국민속대백과사전
민속현장조사
국제저널무형유산
발간자료 검색
학술세미나
소식
새소식
웹진
보도자료
자원봉사
전자민원
채용안내
정보공개
관람안내·예약
본관
관람안내
어린이박물관
관람안내
관람예약
파주관
관람안내
관람예약(일반)
관람예약(어린이체험실)
박물관 소개
인사말
국립민속박물관은
박물관 연혁
부서 및 직원안내
민속연보
국립민속박물관 MI
박물관 사업소개
전시
상설 전시
1전시
2전시
3전시
야외 전시
기획 전시
현재 전시
지난 전시
어린이박물관 전시
온라인 전시
교류 전시
국내
국외
새로운 자료와 보존처리 전시
교육·행사
교육안내·신청
전체교육
전문가
일반인
외국인
장애인
청소년
어린이
찾아가는 교육
강의 다시 보기
교육자료
행사 및 공연
우리민속한마당
문화행사
세시풍속행사
소장자료
소장품
소장품 소개
큐레이터 Pick! 유물이야기
소장품 검색
국가지정문화재
아카이브·도서관
민속아카이브
도서 자료실
기증
자료기증
기증자 현황
열람·복제·매도
자료복제 및 열람허가
자료매도
학술·정보
한국민속대백과사전
민속현장조사
국제저널무형유산
발간자료 검색
원문 검색
학술세미나
학술세미나 행사일정
학술세미나 발간자료
학술세미나 영상
소식
새소식
새소식
메일링서비스
웹진
보도자료
자원봉사
자원봉사 안내
청소년 자원봉사
전자민원
자주하는질문
국민신문고
채용안내
정보공개
정보공개 안내
사전정보공표
정보공개 자료
정보목록
정보공개창구
공공데이터개방
공익신고포상안내
박물관 소관예규집
행정서비스헌장
윤리강령
관련법령
이용안내
누리집지도
CCTV 처리방침
저작권 정책
소식수신 RSS 신청
관련사이트
어린이박물관
한국민속대백과사전
민속현장조사
국제저널 무형유산
영상채널
한국문화상자
Language
English
中文
日本語
소장자료
>
소장자료
>
소장품
>
큐레이터 Pick! 유물이야기
소장품
소장품 소개
큐레이터 Pick! 유물이야기
소장품 검색
국가지정문화재
아카이브·도서관
민속아카이브
도서 자료실
기증
자료기증
기증자 현황
열람·복제·매도
자료복제 및 열람허가
자료매도
관람안내
오시는 길
기증안내
웹진
영상채널
어린이박물관
큐레이터 Pick! 유물이야기
큐레이터가 선택한 하나의 유물을 중심으로 들려주는 ‘큐레이터Pick! 유물이야기’를 만나보세요.
전체 44건, 3/5 페이지
검색폼
검색구분
제목
내용
제목+내용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
게시판 리스트
24. 담뱃대 [신분의 높낮이를 나타내는 길이]
담뱃대는 담배를 피우는 데 쓰이는 도구이다. 우리나라의 옛 문헌에서는 연죽(煙竹)·연관(煙管)·연배(烟盃) 등으로 기록하고 있는데, 그 중 연죽이 일반적이다.담뱃대는 담배를 담아 ..
23. 돌탑 [막돌을 쌓아 올린 신앙 대상물]
마을 어귀에 잡석(雜石)을 올려 쌓아 만든 정교한 원뿔대형의 탑으로, 마을로 들어오는 액(厄)을 막고 복을 불러들인다고 여기는 마을의 신앙 대상물이다. 보통 마을 어귀에 한 개나 ..
22. 바둑판 [흑백 전장 위의 청아한 울림]
바둑판은 바둑을 두는 판이다. 바둑판은 기반(棋盤) 또는 기평(棋枰)이라고도 한다. 바둑판은 오동나무판을 애용하였는데 이것은 가볍기도 하고 바둑돌을 놓는 감촉이 좋기 때문이다. 바 ..
21. 문자도 [그림으로 보는 조선시대 윤리 이야기]
문자도는 민화 가운데 글자의 의미와 관계있는 고사 등의 내용을 한자 획 속에 그려 넣어 서체를 구성한 그림으로, 그림글씨, 꽃글씨, 서화도(書畵圖) 등으로 불려지기도 한다. 우리나 ..
20. 감모여재도 [지극히 사모하는 마음을 그린 그림]
감모여재도는 사당을 그린 그림이므로 사당도祠堂圖라고 해야 마땅하다. 그러나 ‘감모여재도感慕如在圖’라는 화제畫題가 붙은 그림이 많이 발견되면서 명칭으로 발전하였다. ‘감모여재感慕如在 ..
19. 하피첩 [천리를 넘은 아버지 그리고 남편으로서의 사랑]
보물 제1683-2호로 1810년 정약용이 전남 강진에서 유배하던 때 부인 홍혜완이 보낸 치마에 두 아들에게 교훈이 될 만한 글을 적은 서첩 1810년 정약용(1762~1836) ..
18. 말뚝이탈과 취발이탈 [풍자와 나무람의 미학]
말뚝이는 원래 말을 부리는 양반의 하인을 가리키는 명칭으로 봉산탈춤, 강령탈춤, 은율탈춤, 양주별산대놀이, 송파산대놀이, 퇴계원산대놀이, 수영야류, 동래야류, 통영오광대, 고성오광 ..
17. 오방신장기 [다양한 의미만큼 다양하게 활용되는 무구]
오방신장기란 무당이 굿에서 사용하는 다섯 색깔의 깃발로 주로 운수를 점치는 무구이다. 신장거리에서 사용되지만 대감거리와 장군거리 등에서도 사용하기 때문에 대감기 또는 장군기라고도 ..
16. 책가도 [조선 문인들의 고상한 취미 생활]
책가도란 민화의 하나로 책, 부채, 향로, 도자기 등을 화재(畵材)로 그린 그림이다.책가도(冊架圖), 문방도(文房圖)라고도 한다. 높게 쌓아놓은 책더미와 서재의 여러 가지 일상용품 ..
15. 중 수륙하는 모양 [기산 풍속화에 담긴 절집의 큰 행사]
중 수륙하는 모양은 19세기 말 20세기 초에 활동했던 화가 기산 김준근의 풍속화로중요한 불교 의식의 하나인 수륙재를 그린그림이다.수륙재란 물과 육지에 떠도는 영혼을 위로하려는 행 ..
처음 목록으로 이동
이전 목록으로 이동
1
2
3
4
5
다음 목록으로 이동
마지막 목록으로 이동
인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