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립민속박물관.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메뉴
열기
닫기
어린이박물관
영상채널
한국민속대백과사전
민속현장조사
국제저널무형유산
SNS
인스타그램
유튜브
페이스북
네이버 블로그
트위터
Language
English
中文
日本語
검색창 열기
검색창
관람안내·예약
본관
어린이박물관
파주관
박물관 소개
전시
상설 전시
기획 전시
어린이박물관 전시
온라인 전시
교류 전시
새로운 자료와 보존처리 전시
교육·행사
교육안내·신청
강의 다시 보기
교육자료
행사 및 공연
소장자료
소장품
아카이브·도서관
기증
열람·복제·매도
학술·정보
한국민속대백과사전
민속현장조사
국제저널무형유산
발간자료 검색
학술세미나
소식
새소식
웹진
보도자료
자원봉사
전자민원
채용안내
정보공개
관람안내·예약
본관
관람안내
어린이박물관
관람안내
관람예약
파주관
관람안내
관람예약(일반)
관람예약(어린이체험실)
박물관 소개
인사말
국립민속박물관은
박물관 연혁
부서 및 직원안내
민속연보
국립민속박물관 MI
박물관 사업소개
전시
상설 전시
1전시
2전시
3전시
야외 전시
기획 전시
현재 전시
지난 전시
어린이박물관 전시
온라인 전시
교류 전시
국내
국외
새로운 자료와 보존처리 전시
교육·행사
교육안내·신청
전체교육
전문가
일반인
외국인
장애인
청소년
어린이
찾아가는 교육
강의 다시 보기
교육자료
행사 및 공연
우리민속한마당
문화행사
세시풍속행사
소장자료
소장품
소장품 소개
큐레이터 Pick! 유물이야기
소장품 검색
국가지정문화재
아카이브·도서관
민속아카이브
도서 자료실
기증
자료기증
기증자 현황
열람·복제·매도
자료복제 및 열람허가
자료매도
학술·정보
한국민속대백과사전
민속현장조사
국제저널무형유산
발간자료 검색
원문 검색
학술세미나
학술세미나 행사일정
학술세미나 발간자료
학술세미나 영상
소식
새소식
새소식
메일링서비스
웹진
보도자료
자원봉사
자원봉사 안내
청소년 자원봉사
전자민원
자주하는질문
국민신문고
채용안내
정보공개
정보공개 안내
사전정보공표
정보공개 자료
정보목록
정보공개창구
공공데이터개방
공익신고포상안내
박물관 소관예규집
행정서비스헌장
윤리강령
관련법령
이용안내
누리집지도
CCTV 처리방침
저작권 정책
소식수신 RSS 신청
관련사이트
어린이박물관
한국민속대백과사전
민속현장조사
국제저널 무형유산
영상채널
한국문화상자
Language
English
中文
日本語
소장자료
>
소장자료
>
소장품
>
큐레이터 Pick! 유물이야기
소장품
소장품 소개
큐레이터 Pick! 유물이야기
소장품 검색
국가지정문화재
아카이브·도서관
민속아카이브
도서 자료실
기증
자료기증
기증자 현황
열람·복제·매도
자료복제 및 열람허가
자료매도
관람안내
오시는 길
기증안내
웹진
영상채널
어린이박물관
큐레이터 Pick! 유물이야기
큐레이터가 선택한 하나의 유물을 중심으로 들려주는 ‘큐레이터Pick! 유물이야기’를 만나보세요.
전체 44건, 2/5 페이지
검색폼
검색구분
제목
내용
제목+내용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
게시판 리스트
34. 여성노동자의 작업복 [동일방직(주) 이총각님의 작업복]
근현대사에서 특별한 의미를 가지는 1970년대의 여성노동자 그리고 당시 사건을 한 사람의 작업복으로 만나볼 수 있습니다. 영상 보기(영상채널 사이트 새창 열림)
33. 윷 [대한민국 국민놀이]
윷놀이는 정월 초하루에서 보름까지 윷가락을 던져 승부를 겨루는 민속놀이이다. 문헌상에서는 윷의 유래와 역사를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윷놀이와 깊은 관련을 갖는 용어들이 다양하게 ..
32. 삼현육각 ['삼현육각'의 유래]
'삼현육각'은 주로 향피리2·대금·해금·장구·북의 여섯 악기로 이루어지는 한국 전통 음악의 대표적인 악기 편성의 하나, 또는 그런 편성으로 연주하는 음악을 뜻한다. 유만공의 『세시 ..
31. 재첩국 판매 리어카 [부산의 상징, 재칫국아지매를 추억하다]
'재첩국 판매 리어카'는 부산 재칫국아지매의 생활상을 보여주는 근현대 유물입니다. 부산의 '재칫국아지매'의 재첩국과 당시 사용했던 리어카를 통해 6 25 전쟁 이후의 삶과 오늘날에 ..
30. 띠배 [액운을 띄워 보낸다]
띠배는 '액을 막거나 풍어를 기원하여 짚이나 띠로 만들어 바다에 띄워 보내는 작은 배'입니다. 보통은 띠, 짚, 나무합판, 참나무, 싸리나무 등으로 만들지만 지역에 따라 주변에서 ..
29. 메주틀 [장담그기의 시작]
메주틀은 메주를 만들 때 형태와 크기를 일정하게 정형하기 위해 사용한 기구이다.관청이나 사찰, 사대부가에서 많은 수의 메주가 필요한 경우, 일정한 형틀로 같은 형태와 크기의 메주덩 ..
28. 장승 [사람형상의 마을 공동 신앙대상물]
장승은 한국의 마을 또는 절 입구, 길가에 세운 사람 머리 모양의 기둥으로 돌로 만든 석장승과 나무로 만든 목장승이 있으며, 전국에 분포한다. 장승의 기원에 대해서는 고대의 성기( ..
27. 솟대 [마을을 지키는 우주 나무]
솟대는 나무나 돌로 만든 새를 장대나 돌기둥 위에 앉혀 마을 수호신으로 믿는 상징물로 세우는 목적에 따라 세 종류가 있다. 첫 번째 마을의 액막이와 풍농·풍어 등을 기원하여 세우는 ..
26. 옹기 [숨쉬는 그릇]
옹기는 약토(藥土)라는 황갈색의 유약을 입힌 질그릇으로 옹(甕,瓮)은 ‘독’이라는 우리말의 한자어로서 그릇의 형태를 일컫는 말이다.옹기는 단순히 그릇의 형태로 독을 말하는 것이 아 ..
25. 천인천자문 [천 명이 한 글자씩 천 개의 문자]
천인천자문千人千字文은 집안에 아이가 태어나면 할아버지나 아버지가 천 명의 지인들에게 일일이 찾아 다니며 부탁하여 한 글자씩을 받아 만든 책이다. 천인의 지혜가 아이에게 전해져 훌륭 ..
처음 목록으로 이동
이전 목록으로 이동
1
2
3
4
5
다음 목록으로 이동
마지막 목록으로 이동
인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