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정보카드
한국문화상자의 자료를 카드 형태로 찾아 볼 수 있습니다.
한국문화상자의 자료를 카드 형태로 찾아 볼 수 있습니다.
병풍은 바람을 막거나 무엇을 가리거나, 또는 장식용으로 방안에 치는 물건이다. 책가도 병풍은 남자들이 기거하는 사랑방에 장식하며, 책을 비롯하여 여러 문방구, 도자기 등을 그린 병풍이다.
책을 읽거나 글을 쓸 때 앉아서 사용하는 책상이다. 주로 사랑방에 두고 공부를 할 때 사용하였으며, 손님이 방문했을 때 주인의 위치를 지켜주는 가구로 사랑방의 중심 역할을 하였다.
글을 쓸 때 사용하는 한지, 붓, 먹, 벼루 등 네 가지를 친구에 비유하여 ‘문방사우’라고 한다.
붓을 걸 수 있게 만든 문방구이다. 붓을 걸어 말리고 보관하는 용도로 쓰이며, 가로대에 여러 개의 촉이 있어서 거기에 붓을 걸어둔다.
초를 꽂아 불을 밝히는 조명도구로 주로 나무나 금속을 사용하여 만들었다. 짧은 초꽂이에 초를 꽂도록 되어 있고, 촛농을 받는 접시와 촛불의 밝기를 조절하고 바람을 가리는 ‘화선’이 부착되어 있다.
호랑이 흉배를 단 민광승 초상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흉배는 조선시대 왕족과 관리들이 입는 옷의 가슴과 등에 달았던 자수장식물로, 주로 학과 호랑이를 수놓았다. 행정 업무를 담당하는 문관은 학을, 군사 업무를 담당하는 무관은 호랑이를 수놓아 신분에 따라 모양을 다르게 하였다.
정자관을 쓴 김제덕 초상
조선시대 ‘사대부’라고 불리는 사회지도층들이 집안에서 썼던 모자이다. ‘산’ 모양으로 2단 또는 3단으로 겹쳐 만들었다. 층이 많을수록 형태가 자연스럽게 겹쳐져 미끈하고 아름다운 곡선을 만든다.
한국의 전통 관악기로 대금, 단소, 향피리, 태평소 등이 있다. 대금은 소리가 맑고 음폭이 넓어 다른 악기와 합주할 때 기준이 된다.
활쏘기 (김홍도)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활쏘기는 무관이 되기 위한 시험과목의 하나였다. 하지만 선비들도 체력을 기르고, 집중력을 기르기 위해 활쏘기를 연습하였다.
수계도권 (유숙)
한국 전통사회의 지식층인 선비들이 모여 시를 짓고 풍류를 즐기는 모습을 담은 풍속화이다. 갓을 쓰고 도포를 입은 선비들이 글쓰기 모임에 참여해 시를 읊거나 글을 짓고 있는 선비의 모습을 볼 수도 있다. 또한 담배가 사교의 도구로 애용되고 있다.
병풍은 바람을 막거나 무엇을 가리거나 또는 장식용으로 방안에 치는 물건이다. 화조도 병풍은 꽃과 새 등을 그린 병풍으로, 주로 안방에 장식했다. 꽃 가운데 모란은 꽃 중의 왕으로 부귀와 명예를 상징했다.
여자들이 몸매무새를 단장하는데 이용하는 거울이 달린 작은 가구이다. 상단 내부에 거울이 부착되어 있고, 하단에는 화장품이나 장신구를 넣을 수 있도록 서랍이 달려있다. 바닥에 앉은 자세에서 사용하기에 알맞게 적당한 경사가 지도록 제작한 것이 특징이다.
바느질에 필요한 바늘, 실, 골무 등 바느질 도구를 모은 상자로 종이, 나무 등 다양한 재질과 형태로 만들었다. * 옷감과 함께 바느질에 꼭 필요한 실, 바늘, 가위, 인두, 자, 골무, 다리미 등을 일곱 친구에 비유하여 규중칠우라고 한다.
사랑방이나 안방에서 책이나 화병 등을 올려놓는 탁자로, 사방이 트여 있어서 사방탁자라고 한다. 특히 사방탁자는 가로 세로의 너비가 동일하여 그 형태와 비례감이 뛰어난 것이 특징이다.
숯을 담아 불씨를 보존하는 그릇이다. 화로는 방안에서 음식을 데우거나 인두를 달구어 옷감을 다릴 때 사용하는 등 여러 용도로 쓰였다. 집 안에 불씨가 있어야 나쁜 기운이 들어오지 않는다고 여겨, 여성들은 화로의 불씨가 꺼지지 않도록 잘 지켰다.
한국콘텐츠진흥원 문화콘텐츠닷컴 제공
한국의 전통적인 머리장식품으로 쪽머리가 풀어지지 않도록 꽂는 도구로 장식의 역할도 했다. 뒤꽂이는 비녀로 고정한 머리에 덧꽂는 머리장식품이다.
앞댕기(좌) 도투락댕기(우)로 장식한 모습
족두리는 혼례 때 신부가 쓰는 장식용 모자이다. 신부는 족두리를 쓴 뒤, 큰비녀에 앞댕기와 도투락댕기를 달아 장식한다. 앞댕기는 신부가 큰비녀 양쪽 여유분에 적당한 길이로 맞춰 양어깨 위에 드리우는 것이며, 도투락댕기는 신부의 머리 뒤쪽부터 길게 늘여 장식하는 댕기이다.
전통 혼례식에서 신부의 얼굴을 가리는 데 쓰는 둥근 부채이다. 부채에 수놓여진 모란은 부귀영화와 장수를 기원하는 뜻을 담고 있다.
한복에는 주머니가 없어서 물건을 담는 주머니를 따로 가지고 다녔다. 주머니에 화려한 자수무늬를 수놓아 액운을 막고 행복을 기원하였다. 둥근 것을 '두루주머니', 모난 것은 '귀주머니'라고 한다.
여성의 몸치장으로 저고리 고름이나 치마허리에 차는 장신구다. 금, 은, 옥, 호박 등을 재료로 다양한 형태로 만든다. 패물 하나에 술이 한가닥 달린 ‘단작노리개’, 술이 세개 달린 ‘삼작노리개’가 있다. 바늘집 노리개는 바늘을 넣은 노리개로 장식과 실용성을 겸하였다.
쓰고 남은 색색의 천 조각을 이어서 만든 것으로 작은 물건을 싸기 위해 만든 보자기이다. 보자기는 물건을 싸서 보관하거나 운반하기 위해 네모나게 만든 천을 말한다.
인두는 불에 달구어 옷의 솔기나 모서리 등 천의 구김살을 눌러 펴는데 사용한 일종의 다리미이다. 인두판은 인두질을 할 때 다리는 물건을 받치는 도구로 널조각에 솜을 두고 헝겊으로 싸서 만든다.
남자아이가 설날이나 돌 때 쓰는 모자로 그 형태가 호랑이를 닮았다. 무서운 호랑이의 힘을 빌어 아이에게 부정이나 잡귀의 근접을 막고 건강·장수 하기를 바란 것이다.
보통 여자아이들이 쓰는 모자로 여러 가닥의 댕기가 달려있다. 오늘날에는 보통 여자아이들이 첫 생일인 돌잔치나 명절에 색동저고리, 다홍치마와 함께 쓴다.
남자한복은 저고리와 바지로 구성되며, 때에 따라 배자를 저고리 위에 입기도 한다.
여자한복은 일반적으로 저고리와 치마를 입으며, 때에 따라 저고리에 배자를 입기도 하고 노리개와 같은 장신구를 더하기도 한다.
수계도권 (유숙) 중 일부
조선시대 남자들이 외출할 때 쓰던 모자로, ‘흑립’이라고도 한다. 성인이 된 남자만 쓸 수 있었다.
복건을 쓴 아이 (엘리자베스 키스)
조선시대 유학자들이 사용한 모자이다. 오늘날에는 남자 어린이들이 명절이나 돌 옷차림에 함께 착용한다.
그림감상 (김홍도)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시대 유생들이 향교나 서원에서 쓰던 실내용 모자이다. 착용하면 머리 뒤로 자연스럽게 젖혀진다.
갈모를 쓴 남자 (폴 자쿨레)
비나 눈이 올 때 갓 위에 덮어 쓰던 모자이다. 한지로 만들고 그 위에 콩기름이나 들기름을 여러 번 발라 비에 젖지 않는다. 접기 쉽게 만들어서 휴대하기 편하다.
조바위는 여자들이 착용한 방한용 모자이다. 얼굴을 둥글게 감싸는 형태이다. 여자아이는 첫 생일인 ‘돌’에 색동저고리와 다홍치마를 입고 조바위를 쓰기도 했다.
남바위는 남녀가 겨울에 착용한 방한용 모자다. 위가 트이고 뒤가 덮여 있으며 안 쪽에는 솜이나 털을 대었고, 겉에는 푸른 비단으로 장식하고 매듭을 달았다.
은으로 배씨모양을 만들어 칠보로 장식한 댕기이다. 머리카락이 채 자라지 않은 여자아이들을 위해 앞머리에 단다.
조선시대 지식층인 선비들이 입던 겉옷이다. 깃이 곧고 소매 폭이 넓으며, 옷 뒷면에 옷자락이 하나 더 붙어 있는 모양으로 만든 것이 특징이다.
남자들이 외출할 때 입는 옷. 도포와 달리 양 옆이 트여있어 활동하기에 편할 뿐만 아니라 소매 너비가 넓어 널리 착용된 옷이다.
남여 모두 외출할 때 입었던 겉옷이다. 사방이 두루 막혔다는 뜻으로 두루마기라 한다.
여자들이 집 밖을 나갈 때 쓰고 다닌 것이다. 여자들은 가족이 아닌 남자들에게 얼굴을 보이는 것이 예의가 아니었기 때문에 집 밖을 나갈 때 얼굴을 가리는 쓰개를 착용하였다.
한복을 입을 때는 신발도 그에 걸맞게 신어야 했다. 여자들은 ‘꽃신’이라고도 불리는 운혜를 신었고, 남자들은 단정한 태사혜를 신었다.
서울 광화문에 있는 세종대왕 동상 / 명성황후 간찰첩
한글은 한국인이 쓰고 있는 고유한 글자이다. 세종대왕이 만든 한글은 사람의 신체 중 소리를 내는 기관(입, 혀, 입안, 목구멍)과 하늘, 땅, 사람의 모양을 본떠 자음17자와 모음 11자로 구성된 글자이다. 세종대왕은 이를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으로 ‘훈민정음’이라고 이름을 붙이고 창제 원리와 학문적 배경을 기록한 책인 <훈민정음>을 반포하였다.
태극기는 대한민국의 국기이다. 흰색 바탕 가운데에 태극 무늬를 놓고 네 모서리에 건곤감리 사괘를 배치했다. 흰색 바탕은 밝음·순수·평화를, 태극 무늬는 음·양의 조화를 뜻한다. 네 모서리에 있는‘건(乾)’,‘곤(坤)’,‘감(坎)’,‘리(離)’는 각각 하늘, 땅, 해, 달을 상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