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물관 사업소개

지역민속문화의 해

오늘날 우리 사회는 하루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대량생산체제와 매스미디어에 기반한 지구화(globalization) 흐름은 우리의 생활 모습을 점차 표준화 · 동질화하고 있습니다. 뉴욕이나 도쿄의 삶과 서울의 삶이, 서울의 삶과 지방의 삶이 빠르게 동일한 모습으로 바뀌어 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은 기존의 지역 정체성이나 공동체 의식을 약화시키는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습니다. 이에 각급 지방정부뿐 아니라 우리 정부도 지방자치제와 지역산업의 기반인 지역문화를 활성화하고 지역정체성을 강화하는 것을 중요한 과제로 삼고 있습니다.

이 같은 배경에서 국립민속박물관은 '지역민속문화의 해'를 추진해 오고 있습니다. 이 사업은 기존에 간과되던 근현대 지역 서민생활과 변화 양상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기록을 기본 목표로 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민속문화의 전시․교육․홍보 등 박물관과 연계해 다양한 사업을 진행합니다. 이를 통해 이 사업이 지역문화를 활성화하고 지역정체성을 함께 고양시키고, 궁극적으로 문화다양성을 증진하고 사회통합을 위한 사회문화적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합니다.

이 사업의 성공적 수행에는 바로 지역문화 활성화와 지역정체성 강화를 시급한 당면과제로 삼고 있는 지방 정부의 협력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국립민속박물관은 현재 광역지방자치단체와 손을 잡고 2년의 준비기간과 1년의 실행기간을 설정하여 아래와 같이 연차 사업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지역민속문화의 해 단계

※위의 사업내용은 공동수행기관과의 협의 및 국립민속박물관의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2015 경기민속문화의 해

경기민속문화의 해 사진1
경기민속문화의 해 사진2
경기민속문화의 해 사진3

주요일정

  • (공동) 2015 경기민속문화의 해 협약식 (2014.02.26)
  • (공동) ‘2015 경기민속문화의 해’ 선포식 (2015.04.11)
  • (공동) 경기민속축전 (2015.10.30~31)
  • (공동) 특별전,순회전(수원)_경기 엇더하니잇고! (2015.11.18~2016.02.28)
  • (국립민속박물관) 경기 민속조사 및 보고서 발간 (2014.01~2015.06)
  • (국립민속박물관) 경기 민속주제조사 및 보고서 발간 (2014.01~2015.06)
  • (국립민속박물관) 경기 도시민속조사 및 보고서 발간 (2014.01~2015.06)
  • (국립민속박물관) 민속문화 조사자료 웹구축 (2015.01~12)
  • (국립민속박물관) 찾아가는 어린이박물관 운영 (2015.03~11)
  • (국립민속박물관) 민속생활사박물관 협력망 사업 (2015.03~12)
  • (국립민속박물관) 민속조사마을 현판식 및 사진전 (2015.07~09)
  • (국립민속박물관) 특별전(서울)_경기 엇더니잇고! (2015.08.05~10.31)
  • (국립민속박물관) 경기민속사진공모전 개최 (2015.10.01~11.10)
  • (국립민속박물관) 경기도도당굿 특별공연 (2015.10.26)
  • (국립민속박물관) 한국민속학자대회 (2015.10.30~10.31)
  • (경기도) 양평 강하 고창제 원형 복원 (2015.01~2015.10)
  • (경기도) 포천 화적연(化積淵) 전통 기우제 재현 행사 (2015.03~2015.06)
  • (경기도) 광명 구름산 도당굿 재현행사 (2015.03~2015.10)
  • (경기도) 안양 만안 답교놀이 전승교육 및 상설공연 (2015.03~2015.10)
  • (경기도) 김포 대명항 배띄우는 소리」 자료 발간 및 출판기념 공연 (2015.03~2015.10)
  • (경기도) 광주시 장승제 재현 (2015.03.22)
  • (경기도) 안산의 복날- 청문당 ‘현정승집’ 재현 행사 (2015.07.13)
  • (경기도) 용인 백중 호미씻이 놀이 (2015.08.28)
  • (경기도) 『경기도 불천위』 조사보고서 발간 (2015.10)
  • (경기도) 이천의 마을이야기 경연대회 (2015.10.17)
  • (경기도) 부천 깊은 구지 도당제 재현 행사 (2015.11.30)